브라우저
# 브라우저
-웹 브라우저
-웹 탐색기
-웹 서버에서 양방향으로 통신하며 HTML 문서 및 그림, 멀티미디어(동영상등)등의 컨텐츠를 열람할수 있게 해주는 GUI기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다.
-페이지를 다운로드 하기 위해 응용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인 HTTP를 통해 송수신한다.
# 웹(Web)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인터넷상에서 텍스트나 그림, 소리, 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하이퍼텍스트(hypertext)방식으로 연결해 제공한다.
-HTML 언어를 사용하여 작성된 문서 형태로 제공이 되며, 이러한 문서들을 웹페이지(web page)라고 부른다.
-웹 페이지 중 서로 관련된 내용으로 작성된 웹 페이지들의 집합을 웹사이트(Web site)라고 부른다.
#웹 브라우저 종류
-현재에 이르러 웹 브라우저는 다양하게 존재하며, 가장 많은 지분을 차지하는 것은 구글에서 개발한 크롬 브라우저이다.
-과거에 모자이크(mosaic), 넷스케이프(netscape) 등이 있었다.
#브라우저의 특징과 웹의 동작원리
-브라우저끼리 조금씩 다르지만, 동작 방식은 같다 !!!
=> 사용자가 선택한 자원(resource)를 서버에 요청(request)하고, 서버의 응답(response)을 브라우저에 띄우는(rendering) 방식으로 동작한다.
-자원은 주로 HTML문서이지만 가끔 PDF,멀티미디어 등 다른 형태일수 있다.
-자원의 주소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되어있다.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찾고 싶은 웹 페이지의 URL 주소를 입력한다.
-DNS서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URL 주소 중 도메인 네임을 검색한다.
-해당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찾아 사용자가 입력한 URL 정보와 함께 전달한다.
-이렇게 웹 페이지 URL정보와 전달받은 IP주소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해 TCP 프로토콜을 사용해 인터넷을 거쳐 해당 IP 컴퓨터로 전송되고, 이 요청 메시지는 다시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웹 페이지 URL 정보로 변환이 된다.
-웹 서버는 이 변환이 된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찾아낸 뒤 HTTP 프로토콜을 통해 HTTP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 메시지는 다시 TCP 프로토콜을 이용해 인터넷을 거쳐 사용자의 컴퓨터로 전송이 된다.
-사용자의 컴퓨터에 도착한 HTTP 응답 메시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웹페이지 데이터로 변환이 되고, 변환된 데이터는 웹 브라우저상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볼수 있게 된다.
출처
코드스테이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