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P address
-Internet Protocol address
-인터넷상에서 사용하는 주소체계를 의미.
-네트워크에 연결된 특정 pc의 주소를 나타내는 체계.
# IPv4
- Internet Protocol version 4
- IP주소체계의 네번째 버전을 뜻한다.
-네덩이의 숫자로 구분된 IP주소체계
-각덩어리마다 0부터 255까지 나타낼수있다.
- localhost , 127.0.0.1 현재 사용중인 로컬PC를 지칭.
-0.0.0.0, 255.255.255.255 : broadcast address,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장치와 소통하는 주소이다.
서버에서 접근가능ip주소를 broadcast address로 지정하면, 모든 기기에서 서버에 접근할수있다.
-인터넷 보급률 증가로 IPv6가 나왔다.(현재는 IPv4쓰고있다)
# Port
-127.0.0.1:3000
-localhost:3000
-리액트를 실행했을때에는 로컬 pc의 ip주소로 접근하여 3000번의 통로를 통해 실행중인 리액트를 확인할수있다.
-이미 사용중인 포트는 중복해서 사용할수없다.
만약 다른 프로그램에서 3000번 포트를 사용중이라면 다른포트번호(3001)로 리액트가 실행된다.
-포트번호는 0~65535까지 사용할수있다.
-0~1024번까지의 포트번호는 주요 통신을 위한 규약에 따라 이미 정해져있다.
이거 필수암기 ★★★★★
22:SSH
80: HTTP
443:HTTPS
저렇게 잘 알려진 포트의 경우 http://naver.com:443이 아닌 http://naver.com처럼 포트번호를 URI에 생략할수있다.
그외 잘 알려지지 않은 포트는 반드시 포트번호를 포함해야 한다.
# Domain name
-도메인 이름을 이용하면, 한눈에 파악하기 힘든 IP주소를 보다 간단하게 나타낼수있다.
-터미널에서 nslookup naver.com 하면 ip주소를 확인할수있다.
-모든 ip주소가 도메인이름을 가지는것은 아니다. 모든 도메인 이름은 일정기간 동안 대여하여 사용한다.
#DNS(Domain name system)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여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해당 도메인 이름과 매칭된 IP주소를 확인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작업을 해주는 시스템이 DNS이다.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하거나 반대의 경우를 수행할수 있도록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naver.com을 입력한다면, 이 요청은 DNS에서 IP주소를 찾는다.
'부트캠프교육중 > HTTP,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Messages (0) | 2023.01.30 |
---|---|
크롬 브라우저 에러 (0) | 2023.01.30 |
URL, URI (0) | 2023.01.30 |
HTTP, API (0) | 2023.01.30 |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0) | 2023.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