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실행하기
ctrl + alt + t
# 프롬프트(Prompt)
검은 화면이 터미널.
터미널은 CLI(Command-Line Interface)입니다.
키보드의 입력을 확인하고 편집할 수 있는 한 줄의 공간을 프롬프트(Prompt)라고 합니다.
폴더 또는 파일의 이름에 공백이나 특수문자가 있으면, 백슬래시(\)를 이용해 적용한다.
# pwd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위치 확인하기
현재 작업중인 폴더의 위치를 출력한다
여기서 말하는 디렉토리(directory)는 폴더라고 합니다.
# mkdir (make directories) :새로운 폴더 생성
mkdir + (생성할폴더의 이름)
mkdir helloWorld
# ls (list) : 특정 폴더에 포함된 파일이나 폴더 확인하기
특정 폴더에 포함된 파일이나 하위 폴더의 리스트를 출력합니다.
ls -a: (all) 숨어있는 폴더나 파일을 포함한 모든 항목을 터미널에 출력한다.
ls -l: 폴더나 파일의 포맷을 전부 표현하라는 의미이다. 하나의 파일 또는 하나의 폴더는 한줄에 출력된다.
명령어 ls와 함께 옵션l을 사용하면, 가장 왼쪽에 출력되는 두 글자 d와 -를 확인할수 있다
drwxr-xr-x
-rw-r--r--
d는 폴더를 -는 파일을 나타낸다.
폴더는 다음명령어 cd를 통해 진입할수 있지만, 파일이라면 진입할수 없다.
# nautilus.
터미널의 현재 위치를 GUI의 탐색기로 열 수 있다.
# cd(change directory): 폴더에 진입하기
cd helloWorld
cd명령어를 이용해 helloWorld 폴더로 진입한다는 의미이다.
# touch :파일 생성하기
touch hi.txt
touch 명령어로 hi.txt라는 텍스트파일을 생성했다.
# cat : 파일의 내용을 터미널에 출력하기
만약 hi.txt파일안에 urclass@gmail.com 이렇게 내용이 적혀있엇다고 가정하자.
cat hi.txt를 프롬프트에 입력해보자.
그럼 urclass@gmail.com가 출력될거다.
만약 원격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너무 큰 파일을 출력하면 어떻게 될까요?
원격 서버에 접속하는 일은 네트워크를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원격으로 접속한 상태에서 큰 파일을 출력하는 일은 굉장히 비효율적입니다.
참고적으로 알아두기.
'부트캠프교육중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nano (0) | 2022.12.28 |
---|---|
[Ubuntu] 사용자와 관리자 (0) | 2022.12.28 |
[Ubuntu] 절대경로와 상대경로 (0) | 2022.12.28 |
[Ubuntu] 명령어2 (0) | 2022.12.28 |
Command Line Interface (0) | 2022.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