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문>- if문, else문, elseif문
특정한 조건에 따라 코드가 실행되도록
-----------------------------------------------------------------
<if문>
주어진 조건식의 true/false여부에 따라 실행이 결정된다
따라서 조건식은 결과가 boolean타입이 되도록 작성해야한다.
if (true) {
console.log('hello world');}
#동치연산자(===, !==)
let name = 'kimcoding';
if (name === 'kimcoding') {
console.log('중복된 이름입니다.');}
let name = 'park';
if (name !== 'kimcoding') {
console.log('가입할수 있는 이름입니다.');}
let course = 'seb fe';
if (course === 'seb fe') {
console.log('변수 course에 "seb fe"를 할당했습니다.');}
#비교연산자 (>, <, >=, <=)
let num = 5;
if (num < 10) {
num = num + 1;}
console.log(num); // 6
if (num > 5) {
num = num - 1;}
console.log(num); // 5
#논리연산자(&&,ll)
let age = 15;
if (age > 13 && age <= 19) {
console.log('청소년입니다.');} // '청소년입니다.'
#부정연산자(!)
let num = 11;
if (!(num === 10)) {
console.log('변수 num은 10이 아닙니다.');} // '변수 num은 10이 아닙니다.'
#실습
age가 19보다 크고, job이 student가 아닐 경우 코드가 실행되도록 조건식을 작성하세요.
let age = 25;
let job = 'sw engineer';
if (age > 19 && job !== 'student'){
console.log('조건을 만족합니다.');}
-------------------------------------------
<else문>
-if문은 true일때 코드실행
else문은 true일때 false일때 각각 다른 코드가 실행되도록.
-> let num = 5;
if (num % 2 === 0) {
console.log('짝수입니다.');
} else {
console.log('홀수입니다.');} //'홀수입니다.'
-else문은 독립적으로 사용할수 없고 if문 바로뒤에 작성해야한다. 여기서 조건을 더 추가하고 싶으면 else if문을 사용
-> let name = 'kimcoding';
let course = 'seb fe'
if (name === 'kimcoding' && course === 'seb fe') {
console.log('정보가 일치합니다.')
} else if (name === 'kimcoding' && course !== 'seb fe') {
console.log('코스를 확인하세요.')
} else {
console.log('일치하지 않는 정보입니다.')}
-if문과 else문은 두번이상 사용할수 없다. else if문은 여러번사용가능.
-> let age = 15;
if (age < 8) {
console.log('미취학아동입니다.');
} else if (age >=8 && age < 14) {
console.log('초등학생입니다.');
} else if(age >= 14 && age < 17) {
console.log('중학생입니다.');
} else if(age >= 17 && age < 20) {
console.log('고등학생입니다.');
} else {
console.log('성인입니다.');
}
#구구단을 출력하는 함수에서 변수 num이 2와 9사이의 수일경우 구구단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2와 9사이의 숫자를 입력해달라는 메시지를 콘솔에 출력하도록 코드를 완성하세요.
let num = 3;
if (num <= 9 && num >= 2) {
console.log(num * 1);
console.log(num * 2);
console.log(num * 3);
console.log(num * 4);
console.log(num * 5);
console.log(num * 6);
console.log(num * 7);
console.log(num * 8);
console.log(num * 9);
} else {
console.log('2와 9사이의 수를 입력하세요.');}
#삼항 조건 연산자
let num = 5;
num % 2 === 0 ? console.log('짝수') : console.log('홀수');
-조건식을 먼저 작성한후 ?를 입력하고 앞뒤로 참거짓일때 실행할 코드를 각각 입력합니다.
참거짓일때 실행할 코드는 :로 구분합니다.
위코드는 아래코드와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let num = 5;
if (num % 2 === 0) {
console.log('짝수입니다.');
} else {
console.log('홀수입니다.');
}
'부트캠프교육중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배열이란? (0) | 2022.12.30 |
---|---|
[JS] 함수 (0) | 2022.12.19 |
[JS] 반복문 (0) | 2022.12.19 |
[JS] 변수 (0) | 2022.12.16 |
[JS] 코드와 타입 (0) | 2022.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