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order 테두리
-심미적인 용도 외에도 개발과정에서도 매우 의미있게 사용된다.
각 영역이 차지하는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 레이아웃을 만들면서 그 크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수 있도록 만든다.
border: 1px solid red;
-테두리두께(border-width)/ 테두리 스타일(border-style)/ 테두리 색상(border-color)
- 둥근모서리: border radius
-border style
# margin (바깥여백)
-값이 4개면 top, right, bottom, left (시계방향)
값이 2개면 top와 bottom, left와 right (10px 20px이면 top=bottom=10, left=right=20)
값이 1개면 모든 방향
위의 내용은 padding도 동일하다.
-margin은 음수값 가능하다.
음수값 설정하면 다른 엘리먼트와 간격이 줄어들거나 겹칠수도 있다.
# padding (안쪽여백)
-border를 기준으로 박스 내부의 여백.
-값이 4개면 top, right, bottom, left (시계방향)
값이 2개면 top와 bottom, left와 right (10px 20px이면 top=bottom=10, left=right=20)
값이 1개면 모든 방향
위의 내용은 margin도 동일하다.
-배경색이나 border를 적용하면 padding을 더욱 선명하게 확인할수있다
<박스를 벗어나는 콘텐츠처리>
-박스의 height 속성에 콘텐츠가 차지하는 공간보다 작은 값을 지정해라
만약 커서 밖으로 빠져나온다면
- overflow: auto;
설정하면 콘텐츠가 넘치는 경우 스크롤을 생성하도록 한다.
넘치는 내용을 숨기고 싶으면 overflow: hidden;
<박스크기 측정 기준>
1. 여백과 테두리 두께를 포함해서 박스 크기를 계산해서 만든다
2. * {
box-sizing: border-box;
}
이걸적용하면 모든박스에서 여백과 테두리를 포함한 크기로 계산된다.
content-box는 박스의 크기를 측정하는 기본값이다.
border-box를 권장한다.
border-box인 경우 box의 높이: height + padding-top + padding-bottom + border-top + border-bottom
content-box인 경우 box의 높이: height
'부트캠프교육중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Selector (자식/후손/형제) (0) | 2022.12.22 |
---|---|
[CSS] Selector (기본) (0) | 2022.12.22 |
박스모델기초 (0) | 2022.12.22 |
[CSS] 절대단위와 상대단위 (1) | 2022.12.22 |
글자꾸미기 (0) | 202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