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append 포함
DOM을 이용하여 HTML Element를 부모노드에 포함하는 것
(공중부양하고있는걸 트리구조에 연결한다)
이전단계에서 여기까지 진행했다.
const tweetDiv = document.createElement('div')
1. 생성한 tweetDiv를 트리구조에 연결한다.
변수 tweetDiv에 담긴 div요소를 body요소에 넣는다.
document.body.append(tweetDiv)
개발자도구에서 확인하면 div가 body안에 담겨있는걸 확인할수있다
2. container의 맨 마지막 자식요소로 tweetDiv를 추가한다. ★★★★★★★
const container = document.querySelector('#container')
const tweetDiv = document.createElement('div')
container.append(tweetDiv)
# appendChild() : 선택한 요소 안에 자식요소를 추가한다.
기본적으로 appendChild()를 통해 요소를 삽입하면 맨뒤에 위치하게 된다.
document.body.appendChild(hello);
//h1태그코드를 가진 hello라는 변수가 body 태그 내부에 생성된다
# prepend(): append와 달리 요소의 맨앞에 위치하게 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 insertBefore()
appendChild()와 비슷하지만 전달받는 인자가 2개이다.
첫번째는 삽입하려는 노드
두번째는 삽입의 기준이 되는 노드로, 새 노드는 이앞에 놓이게 된다(삽입할 노드의 다음노드가 된다는거다)
728x90
'부트캠프교육중 > D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M] Update (0) | 2023.01.06 |
---|---|
[DOM] Read (0) | 2023.01.06 |
[DOM] create (0) | 2023.01.06 |
[DOM] DOM다루기 (Create, append, Read, Update, Delete) (0) | 2023.01.06 |
[DOM] element와 node (0) | 2023.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