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M을 이용하여 HTML element를 조회하는 거다
DOM으로 HTML element의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querySelector의 첫번째인자로 셀렉터(Selector)를 전달하여 확인할수있다.
셀렉터로는 HTML요소("div"), id("#tweetList"), class(.tweet) 세가지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1. querySelector
querySelector에 '.tweet'을 첫번째인자로 넣으면 클래스이름이 tweet인 HTML element중 첫번째 엘리먼트를 조회할수 있다. querySelector로 클래스이름이 tweet인 HTML요소를 조회한다.
const oneTweet = document.querySelector('.tweet')
HTML 문서에는 클래스이름이 tweet인 요소가 여러개 있는데, 변수 ,oneTweet에 할당된 요소는 단 하나이다.
2. querySlectorAll
여러개의 요소를 한번에 가져오기 위해서는 querySelectorAll을 사용한다.
주의! html요소들은 배열이 아니다!!!!!
이런 배열 아닌 배열을 유사배열 이라고 한다.(Array-like Object)
3. getElementById
querySelector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오래된 방식이라고만 기억하자
const getOneTweet = document.getElementById('container')
const queryOneTweet = document.querySelector('#container')
console.log(getOneTweet === queryOneTweet) // true
# document.getElementById('div')
이거는 id가 <div> 요소 하나를 조회한다.
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div')
이거는 class가 <div> 요소 여러개를 조회한다.
# <div> 요소를 전부 조회하는 방법
document.querySelectorAll('div') 이거랑
document.getElementsByTagName('div') 이거는 같은거다.
'부트캠프교육중 > D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M] Delete (0) | 2023.01.06 |
---|---|
[DOM] Update (0) | 2023.01.06 |
[DOM] Append (0) | 2023.01.06 |
[DOM] create (0) | 2023.01.06 |
[DOM] DOM다루기 (Create, append, Read, Update, Delete) (0) | 2023.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