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트캠프교육중301

Stack # Stack -쌓다, 쌓이다, 포개지다 -데이터를 순서대로 쌓는 자료구조. #stack의 구조 -원통을 자료구조 stack, 원통속의 구슬을 data로 비유. -가장 나중에 넣은 구슬이 원통의 가장 상단에 자리 잡고있고, 구슬을 빼는 경우에 가장 나중에 넣었던 원통 상단에 위치한 구슬을 가장 먼저 뺄수있다. -자료구조 stack의 특징은 입력과 출력이 하나의 방향, 즉 스택의 최상단에서만 이루어지는 제한적 접근에 있다. -이런 stack 자료구조의 정책을 LIFO(last in first out) 혹은 FILO(first in last out)라고 부르기도 한다. -stack에 데이터를 넣는 것을 push, 데이터를 꺼내는 것을 pop라고 한다. #stack의 특징 1. LIFO(last in firs.. 2023. 3. 14.
자료구조 #자료구조 -컴퓨터과학에서 효율적인 접근 및 수정을 가능케 하는 자료의 조직, 관리, 저장을 의미한다. -자료구조를 많이 아는 개발자일수록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줄 알게된다. -문제들을 해결하기위해 자료구조를 많이 알게되면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데에 가장 적합한 자료구조를 빠르게 찾을수있게 되므로,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할수있게된다. -자료구조를 많이 아는 개발자란, 알고리즘 로직 또한 잘 짜는 개발자라고 볼수있을것이다. #자료구조 -여러 데이터의 묶음을 저장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정의한것. #데이터 -문자, 숫자, 소리, 그림 , 영상 등 실생활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값이다. -데이터는 그 자체만으로 어떤 정보를 가지기 힘들다. -데이터는 분석하고 정리하여 활용해야만 의미를.. 2023. 3. 14.
HTTPS HTTPS -HTTP Secure의 약자, 기존의 HTTP 프로토콜을 더 안전하게(secure) 사용할수있음을 의미한다. -HTTP와 달리 요청과 응답으로 오가는 내용을 암호화한다. -HTTPS 요청 및 응답은 중간에 제3자에게 데이터가 탈취되더라도 그 내용을 알아볼수없다. -데이터를 암호화를 할때에는 암호화할때 사용할키, 암호화한 것을 해석(복호화)할때 사용할 키가 필요하다. -암호화와 복호화할때 사용하는 키가 동일하다면 => 대칭 키 암호화 방식 (하나의 키만 존재) 다르다면 => 공개키(비대칭키) 암호화방식 (두개의 키가 존재) 1. 대칭 키 암호화 방식 -암호화와 복호화할때 사용하는 키가 동일하여 하나의 키만 존재한다. 암호화할때 사용한 키로만 복호화가 가능하다. -두개의 키를 사용해야하는 공개 .. 2023. 3. 12.
OAuth OAuth 2.0 - 인증을 중개해주는 메커니즘. -보안된 리소스에 액세스하기위해 클라이언트에게 권한을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단순화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미 사용자 정보를 가지고있는 웹서비스(네이버, 카카오등)에서 사용자의 인증을 대신해주고, 접근 권한에 대한 토큰을 발급한후, 이를 이용해 내 서버에서 인증이 가능해진다. -자주 사용하고 중요한 서비스들(네이버, 카카오)의 ID와 password만 기억해놓고 해당 서비스들을 통해서 외부 서비스로 소셜 로그인을 할수있다. -보안상의 이점이 있다. 검증되지 않은 App에서 OAuth를 사용하여 로그인한다면 유저의 민감한 정보가 직접 App에 노출될 일이 없고 인증 권한에 대한 허가를 미리 유저에게 구해야 하기 때문에 더 안전하게 사용할수있다. OAuth의 주체.. 2023.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