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트캠프교육중301

TTV, TTI TTV -time to view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에서 내용을 볼수있는시점 TTI -time to interact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에서 인터랙션(소통,교류) 할수있는 시점 CSR: TTV와 TTI가 같음. SSR: TTV와 TTI의 공백이 발생 TTV와 TTI의 간극을 줄이는게 중요하다 2023. 1. 31.
OPEN API, API KEY # OPEN API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데이터에 쉽게 접근할수있도록 정부는 OPEN API의 형태로 공공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API이다. 그러나 무제한으로 이용할수있는건아니다. API마다 정해진 이용 수칙이 있고, 그 이용수칙에 따라 제한사항(가격, 정보의 제한 등)이 있을수 있다. ex) 날씨 # API KEY -서버의 문을 여는 열쇠이다. -API를 이용하기 위해서는API KEY가 필요하다. -API KEY가 필요한 경우에는 로그인한 이용자에게 자원에 접근할수있는 권한을 api key의 형태로 제공하고, 데이터를 요청할때 API KEY를 같이 전달해야 원하는 응답을 받을수있다. 2023. 1. 31.
REST API # REST API -웹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나 자원(resource)을 HTTP URI로 표현하고,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요청과 응답을 정의하는 방식 - API의 대표적인 아키텍처이다. -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 # 로이필딩 REST 방법론 -> 레오나르드 리차드슨(Leonard Richardson) REST 성숙도 모델 # REST성숙도모델 - 총4단계(0~3단계) - 로이필딩은 모든 단계를 충족해야 REST API라고 부를수있다고 주장. 실제로는 2단계까지만 적용해도 좋은 API디자인이다. HTTP API라고 부른다. #단순히 HTTP프로토콜을 사용하기만 해도된다. -이경우 해당 API를 REST API라고.. 2023. 1. 31.
SSR, CSR SSR(Server Side Rendering) -웹페이지를 서버에서 렌더링한다. -브라우저가 서버의 URI로 get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정해진 웹페이지 파일을 브라우저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의 웹페이지가 브라우저에 도착하면 완전히 렌더링된다. 서버에서 웹페이지를 브라우저로 보내기 전에 서버에서 완전히 렌더링했기때문에 ssr이라고 한다. -웹페이지의 내용에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불러온다음, 웹페이지를 완전히 렌더링 된 페이지로 변환한후에 브라우저에 응답으로 보낸다. -브라우저가 다른 경로로 이동할때마다 서버는 같은 작업을 다시 수행한다. #사용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가 우선순위인 경우, 일반적으로 SSR(Server .. 2023.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