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트캠프교육중301

크롬 브라우저 에러 # 크롬브라우저에서 만나는 에러메시지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와 크롬 브라우저가 소통하는 단계, 또는 기기와 네트워크의 연결, 크롬 브라우저가 해석할수없는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 발생한다. 위의 에러메세지를 만나면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 웹페이지에 연결할수없습니다. 웹페이지가 열리지 않습니다. HTTPS가 적용된 웹페이지가 열리지 않습니다. 사진이 로드되지 않습니다. 새탭이 로드되지 않습니다. 2023. 1. 30.
IP, Port, 도메인, DNS # IP address -Internet Protocol address -인터넷상에서 사용하는 주소체계를 의미. -네트워크에 연결된 특정 pc의 주소를 나타내는 체계. # IPv4 - Internet Protocol version 4 - IP주소체계의 네번째 버전을 뜻한다. -네덩이의 숫자로 구분된 IP주소체계 -각덩어리마다 0부터 255까지 나타낼수있다. - localhost , 127.0.0.1 현재 사용중인 로컬PC를 지칭. -0.0.0.0, 255.255.255.255 : broadcast address,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장치와 소통하는 주소이다. 서버에서 접근가능ip주소를 broadcast address로 지정하면, 모든 기기에서 서버에 접근할수있다. -인터넷 보급률 증가로 IPv6가.. 2023. 1. 30.
URL, URI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서버가 제공되는 환경에 존재하는 파일의 위치 -네트워크 상에서 웹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이 위치한 정보를 나타낸다. -scheme, hosts, url-path -scheme: 통신방식(프로토콜)을 결정한다. 일반적인 웹브라우저에서는 http(s)를 사용한다. -hosts: 웹 서버의 이름이나 도메인, IP를 사용하며 주소를 나타낸다. -url-path:웹서버에서 지정한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하여 웹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이 위치한 경로와 파일명을 나타낸다.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scheme, hosts, url-path, query, fragment -query: 웹서버에 보내는 추가적인 질문 .. 2023. 1. 30.
HTTP, API #프로토콜: 통신규약 즉 약속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HTTP라는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서로 대화를 나눈다. 응용계층 HTTP : 웹에서 HTML, JSON등의 정보를 주고받는 프로토콜 HTTPS: HTTP에서 보안이 강화된 프로토콜 FTP: 파일전송 프로토콜 SMTP: 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SSH: CLI환경의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RDP: windows 계열의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WebSocket: 실시간통신, push 등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전송계층 TCP: HTTP, FTP 통신의 등의 근간이 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UDP: (양방향의 TCP와는 다르게) 단방향으로 작동하는 훨씬 더 단순하고 빠르지만, 신뢰성이 낮은 인터넷 프로토콜 # API(applica.. 2023. 1. 30.